에뜨뷰

고객지원

관련 지식

근육과 건강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19.07.22

사람의 몸은 200여 개의 뼈와 600여 개의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근육은 볼륨 있는 체형을 만들기 위한 부분으로서 관심의 대상이었으나, 최근 예방과 치료적 관점에서 건강에 요구되는 생리적 기전이 입증되면서부터 중년 이후의 대상에게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근육으로부터 시작된 건강 관련 요소는 혈관의 운동성 및 혈액순환의 심혈관계 질환, 신진대사와 관련된 대사질환, 통증과 관련된 근골격계 질환, 비뇨기계 질환 등과 연관된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근육량과 근력이 감소되는데 이를 근감소증(Sarcopenia) 이라고 한다.


특히 빠르게 수축하는 Type Ⅱ 근섬유의 감소가 뚜렷한데, 근육의 점진적인 감소는 40대 이후부터 진행되며, 70대까지는 10년마다 10~15%씩, 70대 이후에는 25~40%의 빠른 근감소증이 발생된다.


근감소증은 또한 노쇠 증후군(Frailty Syndrome)과도 깊은 연관이 있어, 단순히 근육양과 근력의 감소로만 끝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질환을 촉발시키는 주요 요인으로서, 2016년 10월 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도 근감소증이 질병코드로 등록되었다.


근육량이 줄어들면 근육세포 주위와 근육 내에 지방세포가 쌓이게 되는데, 지방세포는 염증을 일으키는 물질을 분비하며, 이 물질이 혈관 안을 떠돌며 혈관 내벽을 자극 및 파괴하고 쌓이면서 혈전이 되어 심장 또는 뇌에 손상을 줄 수 있다. 실제 2013년 Chin 등의 연구에 의하면, 근감소증이 있는 65세 이상 남녀에서 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이 75% 이상 높았다고 하였다



48ee1c79a1a8d5bbb478493b6ab6362b_1563779684_3343.jpg
*
근 감소로 인한 지방세포 침착 및 염증매개 물질 분비

48ee1c79a1a8d5bbb478493b6ab6362b_1563779710_9505.jpg

*염증유발물질의 혈관 내 침착

 


근 감소증에 대응한 근력과 근육량의 증가는 체형 뿐만 아니라 생리적 요인으로써 매우 중요한 단계적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전기자극을 통해 이러한 근 수축과 근력의 증가 뿐만 아니라 혈액순환, 부종감소, 통증감소, 근 이완 등의 다양한 임상 적용이 가능하다


근육량을 유지 또는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근육운동이 중요하다. 근육운동은 근육을 미세하게 손상시키고 손상된 부분에 근육이 회복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근육량을 늘어나게 한다. 일주일에 3회~4회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면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다. 단, 부상 방지를 위해 50대 이상은 무리하게 근육운동만 하기보다는 근육운동의 강도를 낮추고 걷기, 수영 등의 유산소 운동을 병행하여 시간을 두고 서서히 근력을 강화시켜야 한다. 

근육운동에 도움을 주는 기기를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러나 운동만으로는 근육을 유지하고 강화하기에 부족하다. 지속적인 단백질 섭취가 필수다. 콩, 두부, 기름기 없는 고기, 생선, 계란 등 양질의 단백질 섭취가 중요하다. 단, 단백질 보충제는 간에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식품을 통해 단백질을 섭취해야 한다.


근육을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비타민 D가 결핍되면 근력이 약해지고 피로감을 쉽게 느끼고, 근육통을 유발한다. 자연스럽게 비타민 D가 체내에 합성되려면 하루 20분 이상 햇볕을 쬐고 치즈, 우유, 마가린, 버터, 연어 등의 비타민 D가 풍부한 음식을 섭취해야 한다.


건강은 행복한 노후의 필수조건이다. 특히 스스로의 힘으로 움직이는 것은 삶의 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다. 지금부터라도 꾸준히 관리하여 근육량이 줄어드는 것을 예방한다면 활기찬 노후를 맞을 수 있다.


학술자료


국내

-김은혜, 김선미. 노인의 근감소증. Korean J Clin Geri. 2015;16(1):1-7.

-김태열 등. 임상전기생리학. E*Public. 2009.

-이재형. 전기치료학. 대학서림. 2008.

-홍상모, 최웅환. Sarcopenia의 최신지견: 근감소증. 대한내과학회지. 2012;83(4):444-454.


해외

-Amaro JL, Gameiro MO, Padovani CR. Effect of Intravagi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Pelvic Floor Muscle Strength. 2005;16:355-358.

-Bo K, Berghmans B, Morkved S, et al. Evidence-Based Physical Therapy for the Pelvic Floor. Elsevier. 2007.

-Currier DP, Petrilli CR, Threlkeld AJj. Effect of Graded Electrical Stimulation on 

Blood Flow to Healthy Muscle. Phys Ther. 1986;66:937-943.

-Delashaw JB, Duling BR. A Study of the Functional Elements Regulating Capillary 

Perfusion in Striated Muscle. Microvasc Res. 1988;36:162-171.

-Escortell-Mayor E, Riesgo-Fuertes R, Garrido-Elustondo S, et al. TEMA-TENS 

Group. Primary care randomized Clinical Trial: Manual Therapy Effectiveness in 

comparison with TENS in Patients with Neck Pain. Man Ther. 2011;16(1):66-73.

-Farina S, Casarotto M, Benelle M, et al.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on the 

effect of two different treatments in myofascial pain syndrome. Eur Medicophys. 

2004;40:293-301.

-Hou CR, Tsai LC, Cheng KF, et al. Immediate effects of various physical therapeutic modalities on cervical myofascial pain and trigger point sensitivity. Arch Phys Med Rehabil. 2002;83:1406-1414.

-Kroeling P, Gross A, Goldsmith CH, et al. Electrotherapy for Neck Pain. Cochrane Library. 2010;3:1-71.

-Palko A, Krause B, Starkey C. The efficacy of combination therapeutic ultrasound and electrical stimulation. J Athl Train. 2007;42(2): S-134.

-Parkkinen A, Karjalainen E, Vartiainen M, et al., Physiotherapyn for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Individual therapy at the Outpatient Clinic Versus Home-Based Pelvic Floor Training: a 5-year follow-up study. Prentice WE. Therapeutic Modalities in Rehabilitation. McGraw-Hill Co., 2011.

-Sherburn M. Evaluation of Female Pelvic-Floor Muscle Function and Strength. Phys Ther. 2005;85(3);269-282.

-Vishop S, Draper D, Knight K. Human tissue temperature rise during ultrasound treatments with the Aquaflex Gel Pad. J Athl Train. 2004;39(2):126-131.

-Walsh D, Liggett C, Baxter D, et al. A double-blind investigation of the hypoalgesic effects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upon experimentally induced ischaemic pain. Pain. 1995;61(1):39-45.

-Wu LZ, Cui CL, Han JS. Han's acupoint nerve stimulator(HANS) for the

Treatment of Opiate Withdrawal Syndrome. Chin Pain Med. 1995b;1(1):30-38.

-Yamanishi T, Mizuno T, Watanabe M, et al., Randomized, Placebo Controlled Study of Electrical Stimulation with Training for Severe Urinary Incontinence after Radical Prostatectomy. 2010;184(5):2007-2012.